반응형

서버 21

Linux (CentOS, Ubuntu 등) 에 Redis 설치하기

여기서는 간단히 Redis Stable 버전을 받아서 설치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. (패키지 매니저를 사용하지 않고...) 1. Redis 다운로드 우선 Redis 페이지로 이동하여 Redis Stable 버전을 다운 받도록 합니다. * 다운로드 페이지 : redis.io/download * 다운로드 링크 6.0.8 기준 : download.redis.io/releases/redis-6.0.8.tar.gz $ mkdir ~/redis $ cd ~/redis # wget으로 다운로드 $ wget http://download.redis.io/releases/redis-6.0.8.tar.gz # 압축풀기 $ tar xzf redis-6.0.8.tar.gz 이제 다운 로드 받고 압축 풀기까지 끝 낫습니다. 2..

CentOS 에 MariaDB 최신버전 설치하기

CentOS 에 MariaDB 를 yum 패키지 관리자를 통해 통하여 간단하게 설치하는 방법입니다. 우선 영문으로 각각의 OS 별로 설치 방법이 영문으로 되어 있는데 해당 페이지는 링크 (downloads.mariadb.org/mariadb/repositories/) 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. 1. OS 및 설치 버전 선택 위에서 안내된 페이지를 들어 가시면 OS 선택과 버전 을 선택 할 수 있습니다. 제 경우 CentOS 7 에 Stable 버전을 선택 했습니다. 이제 선택을 완료 하시면 하단에 Repo 에 들어가야될 내용과 설치 방법이 나타납니다. 2. yum Repo 등록하기 이제 하단에 나타난 Repo 정보를 /etc/yum.repos.d/mariadb.repo 를 vi 로 열어서 Repo 정보를 ..

Tips - etc/CentOS 2020.09.30

CentOS 에 NginX 설치하기

최신 버전의 NginX 패키지 설정 후 설치하는 방법입니다. 1. Repo 확인하기 기본적으로 nginx 의 레포는 등록되지 않은 경우가 많습니다. 그래서 yum info 혹은 yum install nginx 를 실행할 경우 아래와 같이 저장소가 없다고 나오게 됩니다. 만약 정보가 나오게 되더라도 구 버전인 경우가 대부분인데 자신에게 맞는 버전이시다 싶으시면 yum install nginx 로 설치하시고 이용 하시면 됩니다. 하지만 여기서는 최신 버전 설치가 목적이기 때문에 저장소를 등록하고 설치 하는 과정을 진행하겠습니다. 2. 저장소 등록하기 저장소를 vi 를 통해서 /etc/yum.repos.d/nginx.repo 에 아래의 내용을 입력합니다. [nginx] name=nginx repo baseur..

Tips - etc/Nginx 2020.09.30

윈도우즈 서버 (Windows Server) 2012 / 2016 '현재의 보안 설정 때문에 이 파일을 다운로드할 수 없습니다.' 에러

Windows Server 2012 / 2016을 처음 설치하고 IE로 파일을 받으려 하면 아래와 같은 에러 메시지를 발견할 수 있는데요. * 제 경우는 Chrome 이 경우 Windows Server의 몇 가지 보안 설정을 내려 주셔야 합니다. 1. 서버 관리자 설정 변경하기 우선 서버 관리자 > 로컬 서버 로 이동하시고 우측을 보시면 IE 보안 강화 구성 이 사용으로 되어 있는 걸 확인하실 수 있는데요. 이것을 클릭하여 설정으로 변경해 주도록 합니다. 제 경우 관리자만 허용을 하고 사용자에게는 허용하지 않을 계획이라 사용자는 사용(권장)을 유지하였습니다. 파일을 다운로드하고 싶으시면 해당 사용자 계정을 대상으로 사용 안 함 을 해주셔야 합니다. 2. IE 인터넷 옵션 설정하기 보통 IE 인터넷 옵션에..

Ubuntu 18.04 에 ffmpeg 4.x 설치 방법

Ubuntu 간단히 저장소를 이용한 ffmpeg 4.x 설치 방법입니다. 어렵지 않으니 잘 설치해보시기 바랍니다. 1. 저장소 등록 add-apt-repository 를 통해 ffmpeg-4 저장소를 등록해 주도록 합니다. $ sudo add-apt-repository ppa:jonathonf/ffmpeg-4 2. 업데이트 및 설치 apt-get update를 통해 패키지 리스트를 업데이트해주시고 ffmpeg 관련 설치를 진행해 주시면 됩니다. $ sudo apt update && sudo apt install ffmpeg x264 x265 * x264 나 x265는 필요에 따라 설치하지 않으셔도 됩니다. 3. 버전 확인 이제 ffmpeg -version을 통해 버전 확인이 가능합니다. ffmpeg의 사..

Tips - etc/Ubuntu 2020.05.25

Ubuntu 에서 SFTP 사용시 사용자 폴더에 가두기

Ubuntu에서 SFTP 사용 시 로그인 사용자를 해당 폴더에 가두는 방법입니다. ( SSH를 사용하기 때문에 vsftpd는 필요 없습니다. ) 0. 조건 - 우선 SSH 가 깔려 있다는 것을 전제로 합니다. - 사용자 그룹 sftponly 에 등록된 사용자들을 sftp 폴더에 가두게 될 것입니다. * 주의 : SSH 사용자를 sftponly 그룹에 등록하지 마시기 바랍니다. sftponly에 등록된 사용자는 ssh에 로그인이 되지 않게 될 것입니다. 1. SSH config 변경하기 우선 /etc/ssh/sshd_config 를 수정합니다. $ vim /etc/ssh/sshd_config 그리고 문서의 최하단으로 내리셔서 아래와 같이 internal-sftp을 추가하고 Match Group를 추가하도록..

Tips - etc/Ubuntu 2020.05.24

Ubuntu 서버 에서 CPU 코어 수 확인하기

Ubuntu 에서 CPU 코어 갯수를 확인하는 방법 입니다.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으며 하나씩 해보시면 쉽게 확인이 가능합니다. 1. lscpu 이용 간단히 커맨트 창에 lscpu 를 이용하여 cpu 정보의 확인이 가능합니다. $ lscpu 위의 스샷에서 확인하시다시피 CPU 는 총 4개에 각각의 케시가 표시되는 모습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. 2.. /proc/cpuinfo 에서 정보를 보는 방법입니다. $ cat /proc/cpuinfo 위의 명령어로 실행하신다면 필요 이상의 정보가 나오는대요. 코어만 확인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이 작성해 주시면 됩니다. $ grep -c processor /proc/cpuinfo 위와 같이 4개의 코어가 표시되는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. 3. top 에서 1을 눌러..

Tips - etc/Ubuntu 2020.05.24

Ubuntu 에서 ufw 방화벽 사용하기

Ubuntu 에서 방화벽인 ufw(Uncomplicated firewall)를 사용하는 방법입니다. 1. ufw 시작하기 $ ufw enable * 주의 ssh 로 작업 중이라면 혹시 모르니 ssh 의 포트를 미리 allow 시켜 주시기 바랍니다. 2. ufw 끄기 $ ufw disable 3. ufw 상태 보기 $ ufw status 4. ufw port 등록하기 $ ufw allow 포트 숫자 / tcp or udp 만약 tcp 또는 udp 를 써주지 않는다면 모두 등록한다는 뜻입니다. $ ufw allow 서비스명 서비스에서 사용하는 포트를 등록합니다. 5. ufw 특정 포트 ip대역 거부하기 $ufw deny from ip 6. ufw 설정 삭제하기 $ufw delete 명령어 명령어는 예를 들어..

Tips - etc/Ubuntu 2020.05.24

Linux 에서 파일 혹은 디렉토리 압축하기

Linux에서 파일 혹은 디렉터리를 압축할 때는 tar.gz를 이용합니다. 일반 zip 역시 설치하여 사용 가능 하지만 기본적으로 설치되어있는 프로그램이 아니어서 잘 사용하지 않습니다. ( 필요하다면 패키지 설치 후 사용 가능 ) 0. tar.gz 란? 우선 간단히 tar.gz 에 대해 설명하면 앞의 tar 은 파일이나 폴더를 하나로 합쳐 주는 역할을 합니다. 그리고 gz는 gzip으로 압축이 되었음을 의미하는대요. 이는 gz를 사용하지 않고 tar 만으로 폴더를 합치기만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. 1. tar 사용법 - 파일 혹은 디랙토리를 하나로 통합합니다. tar 만들기 - tar -cvf [파일명] [대상 폴더명] ex) tar -cvf achive-name.tar directory-name..

Linux ( CentOS 혹은 Ubuntu 등 ) 에서 명령어를 백그라운드(Background)로 실행하기

리눅스에서 간혹 특정 명령어 ( 고용량 다운로드, 데이터 처리, 데이터 복구 등 )를 반나절 혹은 하루 이상 유지해야 할 때가 있는데요. 이때 해당 명령어를 백그라운드(Background)에서 SSH 접속이 끊어지더라도 유지시키는 방법입니다. 일단 명령어를 라고 했을 때 기본 사용방법은 아래와 같으며 $ nohup 1>/dev/null 2>&1 & 예를 들어 보자면 대충 아래와 같이 사용하시면 됩니다. $ nohup mysql -uroot -pPASSWORD DB_NAME /dev/null 2>&1 & 간단히 설명드리면 nohup 명령어를 로그아웃 된 상태에서도 유지하도록 해줍니다. 예를 들어 SSH로 접속하여 실행 후 접속이 끊어진다고 해도 명령어..
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