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
Tips - etc 42

[Ubuntu] SSH PasswordAuthentication 설정이 안될때

Ubuntu 에서 기본적으로 ssh 구성시 비밀번호를 이용하여 구성하기 위해서는/etc/ssh/sshd_config 에서 PasswordAuthentication 을 yes 로 수정 하면 되는데요.설정 후  $ service ssh restart를 했음에도 적용이 안될때가 있습니다.이때 /etc/ssh/sshd_config.d/ 폴더 내부의 설정 파일을 한번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.제 경우 /etc/ssh/sshd_config.d/60-cloudimg-settings.conf 이라는 파일이 있었고 해당 파일안에 PasswordAuthentication 이 기존 설정을 덮고 있었습니다 위와 같이 해당 설정 파일 내의 설정도 동일하게 PasswordAuthentication yes로 설정해 주시고 ssh를 ..

Tips - etc/Ubuntu 2024.12.23

블리자드 배틀넷 Battle.net 게임 제거 방법

배틀넷은 게임을 배틀넷이라는 런처에서 설치하고 관리 하는데요. ( 게임은 제어판에 없습니다. )간단히 배틀넷 게임들을 제거 하는 방법을 알려 드리겠습니다. 우선 배틀넷을 켜시고 삭제 할 게임으로 이동 하여 설정 을 누르시고 메뉴 최하단에서 게임 제거 를 누르시면 됩니다.   게임 제거 확인 메세지에서 네, 제거합니다. 를 눌러 확인을 하시면  하단에 아래와 같이 파일이 삭제 중이라는 메세지가 뜬 후   게임이 완전히 삭제된 모습을 확인 하실수 있으실 것 입니다. 제거 뒤에는 아래와 같이 게임 실행 버튼이 다시 설치 버튼으로 변경 된 것을 확인 하실수 있으실 것 입니다.  만약 게임을 모두 삭제하시고 함께 배틀넷도 삭제 하고 싶으시다면 아래와 같이  제어판의 앱으로 이동하여 배틀넷을 검색 후 삭제 하시면 ..

Tips - etc/ETC 2024.09.14

Linux 에서 스왑 ( Swap ) 메모리 생성하기

아마존과 같은 클라우드 서비스에서 머신을 생성하고 사용하다 보면 기본 Swap 메모리가 설정되어 있지 않아 있는 것을 볼 수 있는데요.  물론 성능상으로 Swap 이 없는 것이 좋긴 하지만 테스트 서버나 굳이 Swap을 쓰지 말아야 할 정도로 빠른 서비스가 아닐 경우 사용하는게 서버 안정성에 좋을 때가 있는데요. 여기서는 간단히 Swap 을 생성하는 방법을 알아보겠습니다. 1. 메모리 검사하기  우선 정말 스왑 메모리가 없는지 free -m 을 통해 확인해 보도록 합니다. $ free -m위와 같이 Swap 이 0 으로 표기된다면 스왑(Swap) 메모리가 없는 것으로 보시면 됩니다. 2. 스왑(Swap) 메모리 파일 생성하기 우선 아래의 명령어로 / 에 swapfile 을 생성합니다. $ sudo dd ..

Tips - etc/AWS 2024.09.14

[NodeJS] pm2 를 통하여 NodeJS 프로세스 관리하기

PM2는 P(Process) M(Manager) 2로 NodeJS 프로세서를 관리해주는 역할을 합니다. PM2는 앱이 계속 살아 있을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하고 프로그램의 다운 없이 다시 로드 할 수 있도록 해주는 등의 역할을 합니다.   1. 설치하기설치는 간단히 npm 을 이용함으로 npm install pm2 -g로 설치합니다. $ npm install pm2 -g 2. 실행 및 종료하기  실행 역시 간단합니다. pm2 start app.js 명령어 만으로 nodejs 프로젝트의 실행이 가능합니다.$ pm2 start app.js  아래와 같이 여러개의 프로세서를 켜두고 작동을 볼수도 있습니다.  종료는 pm2 stop id 혹은 pm2 kill 로 해당 프로세스를 종료하거나 pm2 자체를 종..

Tips - etc/Ubuntu 2024.09.14

MariaDB ( MySql ) 데이터베이스 보기. 생성, 삭제하기

여기서는 MariaDB ( MySql ) 에서 데이터베이스 (DB) 를 확인 ( show ), 사용 ( use ), 생성 ( create ), 삭제 ( drop ) 에 관해서 간단히 알아 보겠습니다.  1. 데이터베이스에 접속 후 데이터베이스 확인하기  우선 처음 데이터베이스를 설치 후 root 계정으로 접속하신 후 show databases; 를 입력하시면 아래와 같이 데이터베이스를 확인하실 수 있습니다.   MariaDB [(none)]> show databases;   처음 설치 후 바로 확인하시면 위와 같이 기본 데이터베이스 들만이 있는대요. 위의 데이터베이스들은 특별한 지식이 있으시지 않으시다면 따로 건드실 일은 크게 없으실 것 입니다. ( 가끔 mysql.user 혹은 grant 정도? )  ..

구글 메일 ( Gmail ) 편지함 전체 삭제하기

메일을 이용하다 보면 중요하지 않은 메일함을 관리하지 않을 때가 있는데요. 간단하게 여기서는 구글 지메일 메일함 전체를 삭제하는 방법입니다. *주의 : 메일전체를 삭제하기 전에 중요 메일은 백업해 두세요.  일단 메일 전체 선택을 위해 좌측 상단에 체크 박스를 클릭해 줍니다. 그러면 현재 편지함에 보이는 100개 의 메일 외에 '받은 편지함의 대화 x개 모두 선택' 이 보이실 겁니다. 이제 해당 버튼을 클릭하면 모두 선택되었다는 메시지로 변경되고 위의 휴지통을 눌러 주시면 전체 삭제가 처리됩니다.  이제 삭제 버튼을 누르면 일괄 작업에 확인에 대한 메시지를 확인하실 수 있고 이제 삭제를 진행하시면 모든 메일이 정리되는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. 후.. 모든 메일함을 관리할 수 없으니 중요한 메일함 외에..

Tips - etc/ETC 2024.09.14

SSH 키 이용 시 bad permissions: ignore key: 에러가 발생할 경우

키를 이용하여 ssh를 접속하려 할 때 아래와 같은 에러가 발생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.@@@@@@@@@@@@@@@@@@@@@@@@@@@@@@@@@@@@@@@@@@@@@@@@@@@@@@@@@@@@ WARNING: UNPROTECTED PRIVATE KEY FILE! @@@@@@@@@@@@@@@@@@@@@@@@@@@@@@@@@@@@@@@@@@@@@@@@@@@@@@@@@@@@Permissions 0755 for './{key_name}' are too open.It is required that your private key files are NOT accessible by others.This private key will be ignored.bad permissions: ..

Tips - etc/ETC 2024.09.14

[팁] 문서 타입별 mimetype

기본적으로 파일을 구분할때는 확장자 명이 아닌 mimetype 을 기준으로 구분을 하고 아래는 문서 파일을 거르기 위한 mimetype 모음입니다. .txt text/plain .hwp application/x-hwp document/unknown application/unknown .doc application/msword .doc      application/msword.dot      application/msword .docx     application/vnd.openxmlformats-officedocument.wordprocessingml.document.dotx     application/vnd.openxmlformats-officedocument.wordprocessingml.temp..

Tips - etc/ETC 2024.09.14

[Mysql] Mysql or MariaDB 에서 테이터베이스 테이블 용량 구하기

가끔 데이터베이스에서 mysqldump 를 통해서 데이터를 가져 올때 10기가 이상의 필요 없는 로그데이터가 딸려올 때가 있는데요. 이때 용량을 먼저 알아보고 --ignore-table 를 하면 좋은데요. 아래의 쿼리로 테이터 베이스 테이블의 용량을 알 수 있습니다. SELECT table_name AS `Table`, round(((data_length + index_length) / 1024 / 1024), 2) `Size in MB` FROM information_schema.TABLES WHERE table_schema = "테이터 베이스 이름" AND table_name = "테이블 이름"ORDER BY (data_length + index_length) DESC; 위의 쿼리..

Linux 에서 파일 혹은 디렉토리 압축하기

Linux 에서 파일 혹은 디렉토리를 압축할때는 tar.gz 를 이용합니다. 일반 zip 역시 설치하여 사용 가능 하지만 기본적으로 설치되어있는 프로그램이 아니어서 잘 사용하지 않습니다. ( 필요하다면 패키지 설치 후 사용가능 ) 0. tar.gz 란?  우선 간단히 tar.gz 에 대해 설명하면 앞의 tar 은 파일이나 폴더를 하나로 합쳐 주는 역할을 합니다. 그리고  gz 는 gzip 으로 압축이 되었음을 의미 하는대요. 이는 gz 를 사용하지 않고 tar 만으로 폴더를 합치기만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.  1. tar 사용법 - 파일 혹은 디랙토리를 하나로 통합 합니다. tar 만들기 -  tar -cvf [파일명] [대상 폴더명]ex) tar -cvf achive-name.tar direct..
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