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
서버 21

[Ubuntu] SSH PasswordAuthentication 설정이 안될때

Ubuntu 에서 기본적으로 ssh 구성시 비밀번호를 이용하여 구성하기 위해서는/etc/ssh/sshd_config 에서 PasswordAuthentication 을 yes 로 수정 하면 되는데요.설정 후  $ service ssh restart를 했음에도 적용이 안될때가 있습니다.이때 /etc/ssh/sshd_config.d/ 폴더 내부의 설정 파일을 한번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.제 경우 /etc/ssh/sshd_config.d/60-cloudimg-settings.conf 이라는 파일이 있었고 해당 파일안에 PasswordAuthentication 이 기존 설정을 덮고 있었습니다 위와 같이 해당 설정 파일 내의 설정도 동일하게 PasswordAuthentication yes로 설정해 주시고 ssh를 ..

Tips - etc/Ubuntu 2024.12.23

Linux 에서 스왑 ( Swap ) 메모리 생성하기

아마존과 같은 클라우드 서비스에서 머신을 생성하고 사용하다 보면 기본 Swap 메모리가 설정되어 있지 않아 있는 것을 볼 수 있는데요.  물론 성능상으로 Swap 이 없는 것이 좋긴 하지만 테스트 서버나 굳이 Swap을 쓰지 말아야 할 정도로 빠른 서비스가 아닐 경우 사용하는게 서버 안정성에 좋을 때가 있는데요. 여기서는 간단히 Swap 을 생성하는 방법을 알아보겠습니다. 1. 메모리 검사하기  우선 정말 스왑 메모리가 없는지 free -m 을 통해 확인해 보도록 합니다. $ free -m위와 같이 Swap 이 0 으로 표기된다면 스왑(Swap) 메모리가 없는 것으로 보시면 됩니다. 2. 스왑(Swap) 메모리 파일 생성하기 우선 아래의 명령어로 / 에 swapfile 을 생성합니다. $ sudo dd ..

SSH 키 이용 시 bad permissions: ignore key: 에러가 발생할 경우

키를 이용하여 ssh를 접속하려 할 때 아래와 같은 에러가 발생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.@@@@@@@@@@@@@@@@@@@@@@@@@@@@@@@@@@@@@@@@@@@@@@@@@@@@@@@@@@@@ WARNING: UNPROTECTED PRIVATE KEY FILE! @@@@@@@@@@@@@@@@@@@@@@@@@@@@@@@@@@@@@@@@@@@@@@@@@@@@@@@@@@@@Permissions 0755 for './{key_name}' are too open.It is required that your private key files are NOT accessible by others.This private key will be ignored.bad permissions: ..

Tips - etc/ETC 2024.09.14

Linux 에서 파일 혹은 디렉토리 압축하기

Linux 에서 파일 혹은 디렉토리를 압축할때는 tar.gz 를 이용합니다. 일반 zip 역시 설치하여 사용 가능 하지만 기본적으로 설치되어있는 프로그램이 아니어서 잘 사용하지 않습니다. ( 필요하다면 패키지 설치 후 사용가능 ) 0. tar.gz 란?  우선 간단히 tar.gz 에 대해 설명하면 앞의 tar 은 파일이나 폴더를 하나로 합쳐 주는 역할을 합니다. 그리고  gz 는 gzip 으로 압축이 되었음을 의미 하는대요. 이는 gz 를 사용하지 않고 tar 만으로 폴더를 합치기만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.  1. tar 사용법 - 파일 혹은 디랙토리를 하나로 통합 합니다. tar 만들기 -  tar -cvf [파일명] [대상 폴더명]ex) tar -cvf achive-name.tar direct..

NodeJS 설치 하기 - macOS, Windows

여기서는 간단히 NodeJS를 macOS 와 Windows에서 설치하는 방법을 알려 드리겠습니다. 1. macOS 에서 NodeJS 설치하기 macOS 에서 가장 간단히 설치하는 방법은 Homeberw 를 통하여 설치하는 방법으로 * Homebrew 설치 방법은 아래의 포스트를 참고 2020.07.26 - [Tips/macOS] - MAC OS 용 패키지 관리자 Homebrew 설치 및 간단 사용법 MAC OS 용 패키지 관리자 Homebrew 설치 및 간단 사용법 Homebrew 는 Mac 의 터미널을 이용한 패키지 관리자로 커맨드 라인으로 설치하고 패키지를 관리할 수 있는 편리한 기능을 제공합니다. 여기서는 간단히 설치 및 테스트 그리고 몇가지 명령어를 정 blog.logger.one $ brew i..

Ubuntu 에서 최신 버전 php 설치하기

기본적으로 ubuntu 20.x 라면 7.4 버전의 php 가 연결되어 있지만 7.4.3으로 시간이 지난 후 라면 완전 최신 버전이랑 조금의 차이가 있습니다. 여기서는 간단히 외부 저장소를 추가 후 비교적 최신 버전의 php 설치를 해보도록 해보겠습니다. 1. 저장소 업데이트 및 버전확인 OS를 처음 설치 한 이후라면 apt-get update를 통해 저장소를 한번 업데이트해주도록 합니다. $ apt-get update 그리고 설치를 하진 않지만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-s 옵션을 이용해서 버전을 확인해 보도록 합니다. $ apt-get -s install php-fpm 설치되는 패키지들의 내용을 확인해보시면 7.4.3 버전인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. * 현재 7.4 버전의 경우 7.4.10 이 최신..

Tips - etc/Ubuntu 2020.10.04

Ubuntu 에 최신버전 NginX 설치하기

간단히 Ubuntu 에 NginX 최신 버전을 설치하는 방법입니다. 우선 설치에 관한 영문 문서는 링크 ( www.nginx.com/resources/wiki/start/topics/tutorials/install/ ) 에서 확인 가능합니다. 1. 저장소 등록 하기 apt 저장소 관리자인 /etc/sources.list.d/ 내부에 nginx.list 와 같은 파일을 vi 로 만드 신 후 $ vi /etc/apt/sources.list.d/nginx.list 아래의 내용을 입력해 주시기 바랍니다. ## Replace $release with your corresponding Ubuntu release. deb https://nginx.org/packages/ubuntu/ $release nginx deb..

Tips - etc/Ubuntu 2020.10.04

Ubuntu 에 MariaDB 설치하기

Ubuntu 에서 패키지 관리자 apt 를 이용해 MariaDB 를 설치하는 방법입니다. 일단 설치 방법은 링크 ( downloads.mariadb.org/mariadb/repositories/#distro=Ubuntu ) 에서 확인 가능합니다. 1. 저장소 등록 우선 저장소를 등록하기 위한 명령어를 터미널에 입력 합니다. $ sudo apt-get install software-properties-common $ sudo apt-key adv --fetch-keys 'https://mariadb.org/mariadb_release_signing_key.asc' $ sudo add-apt-repository 'deb [arch=amd64,arm64,ppc64el] https://mirror.yongbok..

Tips - etc/Ubuntu 2020.10.04

리눅스(CentOS, Ubuntu 등)에서 ffmpeg-install 을 통해서 FFMPEG 쉽게 설치하기

ffmpeg는 간단하게는 vod의 코덱 정보와 같은 것을 보거나 avi를 mp4로 변환하는 등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인데요. 여기서 간단하게 ffmpeg-install을 통해 컴파일된 버전을 설치해보도록 하겠습니다. 영문 설치 문서는 링크 : github.com/q3aql/ffmpeg-install 1. 저장소로부터 다운로드하기 우선 git clone을 통해서 저장소로부터 파일을 다운로드합니다. $ cd ~/ $ git clone https://github.com/q3aql/ffmpeg-install.git 다운로드가 완료된 후 cd ./ffmpeg-install 로 이동 후 /usr/bin 으로 복사해 주도록 합니다. * 복사는 필요에 따라 하지 않으셔도 됩니다. $ cd ./ffmpeg-i..

Tips - etc/FFMPEG 2020.10.01
반응형